사무총장 인사말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 모멘텀을 가속화 하여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지속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한-아세안센터는 한국과 아세안 간의 관계 증진을 위한 국제기구로 무역, 투자, 문화, 관광, 인적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호혜적이고 지속가능한 협력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한-아세안 간의 협력의 모멘텀을 이어가기 위해 비대면 교류를 지속하고 그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였고, 복합적인 도전 요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협력 분야를 발굴하며 협력의 기회를 확대하여 왔습니다.

한국 정부는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내용인 ‘한-아세안 연대구상’ 발표를 통해 아세안이 역내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한 중요한 파트너임을 확인하고 이 지역에 특화된 포괄적이고 전략적인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의 이러한 대아세안 외교정책과 아세안의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협력을 목표로 하는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의 관점’이 서로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국내 유일의 아세안 전담 국제기구인 한-아세안센터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나갈 것이며, 21세기 인도-태평양의 시대를 맞이하여 한-아세안센터는 한국과 아세안이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호혜적인 협력을 지속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교류협력을 추진하겠습니다.

첫째,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와 e-모빌리티 등 신성장 산업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경제 협력의 방향을 모색하고, 무역 및 투자 증진이 한-아세안의 호혜적인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둘째,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아세안의 문화·관광 콘텐츠를 확산하고 포스트 코로나 19를 준비하며 한-아세안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을 강화하겠습니다. 서울 아세안 홀 뿐만 아니라 2022년 개관한 제주 아세안 홀도 적극 활용하여 한-아세안 국민들이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인적교류를 증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셋째, 한국과 아세안의 건강하고 성숙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주역이 될 한-아세안 청년들이 상호 이해를 제고하고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미래세대가 협력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데 앞장서겠습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여 한-아세안에 대한 정보 접근의 용이성을 제고하고 전 세대를 아우르는 소통의 장을 형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아세안의 다양한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센터의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협력 활동을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수행하며 한-아세안 협력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국제기구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고자 합니다. 한-아세안 관계와 한-아세안센터의 활동에 한국과 아세안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김해용